250807_풀무원_아키텍쳐_실적.png
나와 지구를 위한 바른 먹거리 기업 풀무원 
전사 브랜드 아키텍쳐 전략 수립

-
Client 
풀무원

Project 
풀무원 전사 브랜드 아키텍쳐 전략 수립

Scope
Brand Diagnosis, Market Trend Analysis, Consumer Research, Brand Hierarchy Strategy, 
Brand Architecture Strategy, Brand Restructuring Strategy, Brand Migration Strategy

#360 #360컴퍼니 #브랜드개발 #브랜드전략 #브랜드네임 #브랜드디자인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브랜드캠페인 #브랜드마케팅 #풀무원 #Pulmone #브랜드 아키텍처 #전략 #360company

02-풀무원_CI_모션.gif

Project Issue & Background
1984년 유기농 식품 브랜드로 출발.
이제는 연매출 3조원을 넘는 지속가능식품기업으로 자리잡고 있다. 
우리나라 대표 식품 기업, 풀무원.
풀무원을 단순하게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식품기업 중의 하나라고 이야기하는 것은 풀무원이 그동안 쌓아온 많은 것들을 제대로 표현하는 것이 아니다. 

풀무원의 역사는 대한민국 식품 시장에서 바른먹거리라는 철학과 정신을 바탕으로 모든 국민들의 식생활 문화를 이끌어 온 역사이다. 20여년 전부터 풀무원은 가장 모범적인 기업으로서 기업의 이윤추구를 넘어 좀 더 나은, 함께라는 가치를 실현시키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는 기업으로서 많은 브랜드 마케팅 현장에서 가장 모범적인 브랜드라고 인정받아왔다. 
01_풀무원_백그라운드_6.gif
풀무원-수정8.gif
풀무원7.gif
추가수정.jpg
수정-16.jpg
05-풀무원03.gif
06-풀무원05.gif
수정-17.jpg
수정2-18.jpg
수정2-19.jpg
Project Result

01 가장 풀무원다운 브랜드 아키텍쳐 정립
우리가 브랜드를 이야기하면서 가장 중심에서 놓치지 말아야 하는 것이 있다.
브랜드를 이야기할 때, 흔히들 경쟁 브랜드와의 차별성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곤 하는데 실상은 그렇지 않다. 
물론, 경쟁 브랜드와의 차별성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이 아니다. 
매우 매우 중요한 포인트이기는 하지만, 더 중요한 것은 브랜드의 [나다움]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나다움]이라는 것을 어떻게 해석하고 이해할 것인가가 바로 브랜드 전략의 성공과 실패를 가늠할 수 있다. 
여기서도 [풀무원다움]이라는 것을 어떻게 이해하고 해석하여 적용할 것인가가 매우 중요한 요소였다.
과거 풀무원도 하위 브랜드를 많이 활용한 적이 있었다. 물론, 지금은 대부분 하위 브랜드들을 없애버렸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도 하위 브랜드 전략은 고려 대상이 아니다라고 생각할 수 있으나 이는 올바른 접근이 아니다.
새롭게 변화된 시장 환경에서, 새로운 경쟁자들이 등장한 상황에서 가장 효율적으로, 
또 가장 효과적으로 비즈니스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전략은 무엇인가에 대한 것이 명확히 필요했다.

07-풀무원-프로젝트-결과02.gif
02 풀무원을 대표하는 브랜드의 변화가 시작이자 종점
대표한다는 것은 무엇인가?
풀무원을 대표하는 것은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자연을 담은 그릇'을 형상화한 CI일까?
물론, 많은 사람들의 인식 속에는 풀무원 CI가 가장 강력하게 자리잡고 있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이는 현재 기준에서, 현재 상황에서의 결과라고 보아야 한다.

새로운 마케팅을 위해서 앞으로 풀무원을 대표해야 하는 것은 무엇일까?
또는 무엇이 앞으로 풀무원을 대표해야 하는가라는 차원으로 질문을 바꿔보면 방향성은 달라질 수 있고 달라져야 한다.
이렇게 앞으로 풀무원을 대표해야 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찾아서 그것을 대표 주자로서, 대표 브랜드의 모습으로 만들어 줄 필요가 있었다.

수정수정수정-11.jpg
03 R&R이 적합하지 않은 브랜드는 과감하게 정리/철수
[브랜드는 만드는 것 보다 없애는 것을 잘해야 한다] 라는 이야기가 있다.
말 그대로 새로운 브랜드를 만들어 낸다는 것은 필요에 따라 말 그대로 만들어내면 된다.
하지만 그렇다면 만들어낸 브랜드는 지속적으로 유지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이 생길 수 있다.
이에 대한 360 컴퍼니의 솔루션은 그렇지 않다는 것이다.

브랜드의 역할과 책임이 분명하지 않은 브랜드라고 하면 마음이 아프기는 하겠지만 과감하게 정리 또는 철수시켜야 한다.
아니 철수시킬 수 있어야 한다.풀무원의 브랜드 아키텍쳐는 그런 면에서 과감함이 필요함을 발견 판단할 수 있었고,
그것을 앞뒤 가리지 않고 적용할 수 있는 결과로 연결시켰다.

수정수정수정-12.jpg
04 변화를 위한 변화가 아닌, 정리를 위한 정리가 아닌 비즈니스 최적화 방향 설정
앞에서 언급한 내용들이 잘 정리된다면 그것이 바로 변화를 위한 변화가 아니라, 
정리를 위한 정리가 아니라 비즈니스가 최대의 효과를 도출할 수 있는 최적화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물론, 기업 내부에서는 익숙하지 않아서, 조금은 낯설어서 망설일수도 있지만 그럴수록 과감한 변화를 통한 
비즈니스 최적화를 위한 결과물 도출이 필요하였다.

수정수정수정-13.jpg
05 브랜드 아키텍쳐 전략의 마침표는 비주얼의 변화
모든 브랜드 전략의 종착역은 비주얼로 표현된다.
비주얼이라고 하면 단순하게 브랜드 로고의 시각적 이미지만을 생각할 수 있는데 사실은 그렇지 않다.
전략에서 수립된 내용이 궁극적으로 브랜드의 로고에서 패키지의 포맷에서 어떻게 보여지게 만들 것인가를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그래야만 기업이 의도했던 전략이 소비자에게 전달될 수 있는 브랜드 경험을 위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수정수정수정-14.jpg
111111-15.jpg

Project Epilogue

브랜드나 마케팅 관련 업무를 오랫동안 하고 나서 느낀 것 중의 하나가 있다. 
그것은 바로 전략 수립은 10%, 구체적인 실행이 90%라는 것이다. 
그만큼 수립된 전략을 실행으로 연결시키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는 의미이다. 
수립된 많은 전략이 실행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책상 서랍속에서 잠자고 있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데
풀무원의 새로운 브랜드 전략도 서랍속에서 잠자지 않고 현장에서 패키지로,
커뮤니케이션으로 영업의 세일즈토크로 잘 실행되어 새로운 풀무원으로 한단계 전진하기를 바랄 뿐이다.

이번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국내외 많은 식품 기업들의 브랜드 아키텍쳐를 다시한번 살펴보게 되었다.
물론, 브랜드 관점에서 바람직한 아키텍쳐를 운영하는 기업이나 브랜드도 있지만 많은 식품 기업들의
브랜드 아키텍쳐에 변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과거에는 식품 산업의 경우 브랜드 전략보다 품질 좋은 제품을 어떻게 만들어 어떻게 시장에서 판매할 것인가에 대해서
주로 고민했는데 반해 최근에는 전반적인 기업 내 많은 제품과 브랜드들의 관계를 고려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라는 점에서는
과거대비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하지만 앞으로도 해결해야 할 이슈들이 많으니 그러한 타 식품사의 브랜드 아키텍쳐 관련 이슈들도
잘 해결 되기를 바라는 마음 뿐이다.




ⓒ Pulmuone Corporat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