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 해결을 위해 360컴퍼니는
1) 전체 및 세분시장에 대한 인식, 구매 행동 변화, 주요 구매 요소 등을 파악하고
2) 삼호어묵과 경쟁 브랜드들에 대한 인식 및 이미지, 제품력 인식, 적정 가격대 인식 등을 검토하여
목표 시장에 가장 효율, 효과적으로 진입할 수 있는 브랜드 전략 수립과 함께 신규 브랜드를 개발하였습니다.
Phase 1. 시장 전반의 인식 변화
1-1) 가성비 - 프리미엄의 양극화
과거 어묵에 대한 인식은 밀가루 함량이 높은 반찬용 소재라는 연상이 주를 이뤘습니다.
그러나 최근 어묵 전문점 브랜드 ‘삼진어묵, 고래사 어묵’의 성장과 더불어
어육 함량이 높은 제품들의 출시로 시장 전반의 프리미엄화가 급격히 진행 중이었습니다.
이에 소비자 인식 속 어묵 시장은 크게 ‘프리미엄과 Value For Money’로 이분화 되고 있었으며,
그 중 프리미엄 시장이 성장하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1-2) 제품 다변화 (맛, 유형)
과거 사각 형태의 반찬용 어묵에 한정된 제품군에서 확장하여
최근에는 꼬치형, 바형, 말이형, 볼형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군들이 출시되고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형태의 변화를 넘어 치즈, 떡, 옥수수 등 다양한 속재료들과 생선살을
최적으로 배합한 여러 맛이 출시되고 있었습니다.
1-3) TPO 다양화
다양한 형태의, 다양한 가격대의, 다양한 맛의 어묵이 출시됨에 따라
반찬으로 어묵을 소비하는 패턴에서 확장하여 아이들 간식, 캠핑용 음식, 가벼운 안주 등으로
TPO가 확장되고 있었습니다. 즉, 식탁 위 반찬에 머물렀던 어묵이 일상적 식사시간 외에도,
출출한 오후시간에, 여행, 캠핑에서도 즐기는 먹거리로 변화하고 있었습니다.
1-4) 기대가치 세분화
값싼 가격에 대해 기대 중심에서 벗어나 높은 어육함량, 쫄깃하고 탱글한 식감,
프리미엄 이미지 등에 대한 기대가 점차 증가, 세분화되고 있었습니다.
결론적으로 어묵 시장은 다양한 제품, 다양한 TPO, 다양한 기대가치로 세분화되고 있으며,
특히 간식용 시장은 그 중에서 가장 프리미엄하고, 가장 트렌디한 영역임이 분명해 보였습니다.